연봉별 자동차 계급 (자동차 허세지수 계산)



연봉별 자동차 계급, 그리고 최근에 화제가 되고 있는 자동차 허세지수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자동차는 사치재이기도 하지만, 필수재이기도 하다. 즉, 소득이나 연봉에 비해 굉장히 비싼 스츠카, 슈퍼카는 사치이지만 이동을 위한 자동차는 필수재라는 것이다

자동차는 필수재와 사치재의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으며, 사람들의 욕구가 반영되는 물건이기도 하다. 마치 아파트처럼 말이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빚을 내서라도 멋있는 자동차를 타려고 한다. 하지만, 연봉 및 소득이 적은데 스포츠카를 타다가는 카푸어가 되기 딱 좋다

그래서 연봉별 자동차 계급, 등급이 있는 것이고 최근에 자동차 허세지수 계산법이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본인이 원해서 무리를 해서라도 슈퍼카를 타겠다면, 뭐라고 할 사람은 없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차에 쓸데없이 돈을 많이 쓰면 노후에 고생할 확률이 높아지고, 모아둔 돈도 점점 줄어들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면 먼저 연봉별 자동차 계급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자

연봉별 자동차 계급

연봉별 자동차 계급 및 등급과 관한 표도 있다. 연봉별 및 소득별 자동차는 사실 정확하지 않고 생각하는 사람에 따라 기준이 천차만별이다. 적당하게 맞다고 생각하는 표 하나와, 김경필 씨가 주장하는 연봉별 자동차 (기준 빡셈) 를 정리한 표를 가져와봤다

아래의 사진은 기준이 좀 널럴한 연봉별 자동차 표이다. 연봉 4000만원 정도부터 아반떼, K3와 같은 기본적인 자동차를 타라는 것이다. 에쿠스, 벤츠, 아우디 등 이름을 들어본 자동차를 타려면 연봉 1억 부터 모으고 시작하라는 것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도 연봉 1억 해봐야 월 세후 실수령액이 620~620만원 정도 되는데 외제차를 몰고 다니는 것은 낭비라고 생각한다. 세후 800~1000만원 정도는 되어야 독일 3사 차량을 몰아도 큰 부담이 없기 때문이다

본인이 외제차나 슈퍼카를 타는데, 차에 기스가 날까봐 걱정한다면 본인의 소득 수준에 맞지 않는 자동차라는 것이다

연봉별 자동차

김경필이 주장하는 소득수준별 합리적인 자동차는 아래와 같다. 월급별 자동차를 나타낸 표다

  • 월급 400~500만원 : K0
  • 월급 1000만원 : 제네시스
  • 월급 1000~1200만원 : 벤츠 E 클래스
  • 월급 2000만원 : 벤츠 G 클래스

연봉별 자동차 계급

연봉별 자동차라는 주제를 떠나서, 세계적인 자동차 브랜드 들의 계급 및 등급에 대해서도 정리한 표가 있다. 마이바흐, 롤스로이스, 벤틀리와 같은 자동차는 말 그대로 넘사벽이다. 이 자동차들은 사실 밖에서도 보기가 쉽지 않다

반면, 페라리 람보르기니 포르쉐 등은 쉽게 볼 수 있는데 개인이 구매하는 자동차들도 있겠지만, 대부분 사업자가 비용처리로 타는 경우가 많다. 어차피 낼 세금 좋은 자동차라도 타겠다는 것이다

자동차 계급도

자동차 허세지수 계산

자동차 허세지수는 공식적으로 어디에서 발표한 지수는 아니다. 김경필 이라는 분이 임의로 만들어낸 지수이다. 평소에 절약에 대해서 강조를 많이 하는 인물이라, 기준이 빡센 편이다

자동차 허세지수 (Bluff Mass Index of Car) 는 차의 BMI 지수와 같은 것이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 허세지수 : [차량가격] / [ (월급) * (6개월)]

허세지수 계산법은 굉장히 간단하고, 결과값에 따른 해석은 다음과 같다

  • 저허세: 0 ~ 1.0 미만
  • 정상: 1.0 ~ 1.5 미만
  • 과한허세: 1.5 ~ 2.0 미만
  • 고도허세: 2.0 ~ 2.5 미만
  • 허세작렬: 2.5 초과

직접 암산을 하거나 계산기를 이용해도 되고, 귀찮은 분들은 아래의 자동차 허세지수 계산기 링크를 통해 간편하게 계산해보면 된다

자동차 허세지수

나도 궁금해서 직접 계산을 해보았다. 나는 자동차가 없기 때문에 차량가격이 0이고 허세 정도는 당연히 ‘저허세’ 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의미가 없기 때문에, 값이 싼 자동차의 대명사인 아반떼를 기준으로 생각을 해보았다

아반떼 가격은 옵션을 추가하는지 또는 깡통인지에 따라 가격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2000만원~3000만원 정도라고 생각하고 중간값인 2500만원을 적용해봤다

[2500만원] / [(800*6개월)] = 약 0.5 정도로 이렇게 계산을 하더라도 저허세다. 물론 실수령 기준이고, 세전 기준으로 한다면 연봉이나 월급은 더 높아지기 때문에 자동차 허세지수는 더 감소하게 될 것이다

자동차 허세지수에 대해 설명하는 유튜브 영상도 있는데, 위의 자동차 허세지수 및 사치지수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아래의 유튜브 영상을 꼭 한번 보길 바란다

이번 글에서는 소득별, 연봉별 자동차 계급에 대해 알아보면서 각자 자신이 차에 많은 돈을 쓰고 있는지 아닌지를 따져볼 수 있는 자동차 허세지수 계산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봤다

블로그에 자동차 속도위반 기준, 과태료 및 벌점에 대해 아주 자세하게 정리해둔 글이 있다. 운전을 할 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그것보다 중요한 것이 안전 운전을 해서 면허정지 또는 면허취소를 당하지 않는 것이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의 글도 한번 참고해서 읽어보자